📑 목차
NFT 지갑 이동이 과세 대상인지 2025년 기준으로 완전 정리.
내부 이동은 비과세지만, 브릿지 이동·Wrapped 변화·수량 변경·타인 지갑 전송은 과세 가능성 존재.

NFT를 지갑 간 이동시키는 단순 행위가 세금 문제를 일으킬까?
많은 디지털 아티스트·NFT 컬렉터·PFP 프로젝트 참여자는 자신의 NFT를 보관용 지갑, 거래 지갑, 콜드월렛, 핫월렛 등으로 자주 이동한다.
특히 높은 가치의 NFT를 보유한 사람일수록 해킹 위험을 줄이기 위해
- 메인 지갑 → 콜드 지갑
- 거래 지갑 → 보관 지갑
- 민팅 지갑 → 관리 지갑 처럼 여러 지갑을 사용한다.
그러나 2025년 기준 국세청이 가상자산의 이동과 소유권을 세밀하게 분석하기 시작하면서 NFT 지갑 이동이 과세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질문이 크게 늘었다.
NFT는 단순 이미지가 아니라 고유 식별 정보, 메타데이터, 온체인 기록이 결합된 디지털 자산이며
일부 NFT는 같은 프로젝트여도 희소성·속성·토큰ID에 따라 시가가 크게 다르다.
이 특성 때문에 “지갑 이동 = 과세 여부”는 코인보다 훨씬 복잡하게 평가된다.
이 글에서는 NFT 보관 지갑 이동이 실제로 세금을 발생시키는지, 그리고 어떤 경우에 과세 리스크가 생기는지
국세청 기준에 맞춰 완전히 정리한다.
NFT 지갑 이동이 기본적으로 비과세인 이유 — ‘소유권 불변 원칙’
NFT 지갑 이동은 대부분 아래와 같은 목적에서 이루어진다.
- 해킹 방지
- 보관 지갑 분리
- 거래 준비
- 커스터디 지갑 이동
- 프로젝트 활동용 지갑 구분
이 상황에서는 NFT의 소유자가 바뀌지 않는다.
세법은 “경제적 이익이 누구에게 귀속되는가?”를 기준으로 과세하기 때문에
소유자가 동일한 상태로 지갑만 옮겼다면 그 행위는 과세 대상이 아니다.
국세청의 기본 해석
NFT가
- 판매되지 않았고
- 교환되지 않았고
- 소유자 변경이 없었고
- 대가가 오가지 않았다면 → 지갑 이동은 비과세
즉, 지갑 이동 자체만으로는 세금을 낼 일이 없다.
그러나 완전히 안심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NFT는 코인보다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특정 조건에서는 지갑 이동이 ‘과세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NFT 지갑 이동이 과세 이슈를 만들 수 있는 6가지 상황
아래 6가지 중 한 가지라도 해당하면 NFT 이동이 과세 문제를 만들 수 있다.
1. 지갑 주소가 다르지만 실질 소유자가 같다는 증빙이 부족한 경우
NFT를
- 메인 지갑에서 콜드월렛으로 이동
- 핫월렛 → 보안 지갑 이동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내부 이동이다.
하지만 세무서가 거래를 검토할 때 해당 지갑이 본인 소유라는 증빙이 없다면 이 이동이 “타인에게 양도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즉, 지갑 A → 지갑 B 이동이 ‘소유권 이전’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다.
위험 해결 방법
- 지갑 주소 매핑 문서
- 서명(signature)을 통한 본인 지갑 증명
- 지갑 연동 기록
이 자료를 반드시 남겨야 한다.
2. 이동 과정에서 NFT가 Wrapped / Fractionalized 되거나, 다른 형태로 변환되는 경우
NFT 이동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변화가 생기면 세법은 “다른 자산의 취득”으로 보게 된다.
예:
- ERC-721 → Wrapped NFT
- NFT → ERC-1155 형태로 재구성
- Fractional NFT(조각)로 분할
이 경우 고유 토큰ID·속성·계약 구조가 바뀌기 때문에 과세 관점에서는 기존 NFT 처분 + 새로운 NFT 취득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양도소득 과세 대상
3. 브릿지를 이용하여 NFT를 다른 체인으로 이동하는 경우(크로스체인 NFT)
예:
- ETH 메인넷 → Polygon
- Polygon → zkEVM
- Solana → Wormhole wrapped NFT 이동
브릿지 기반 NFT 이동은 대부분
- 기존 NFT를 잠금
- 다른 체인에 Wrapped NFT 발행
하는 방식이다.
NFT 원본과 Wrapped NFT는 기술적·법적 실질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자산 성질 변화 = 양도 가능성”이 생긴다.
4. 프로젝트가 중간에 메타데이터 업데이트(리빌, 속성 변경)를 수행한 경우
지갑 이동 시점이 프로젝트의 메타데이터 업데이트와 겹치면 NFT의 가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
- 정적 이미지 → 리빌 후 희소성 변경
- 속성 업데이트
- 메타데이터 교체
이때 NFT가 지갑 이동 중이라면 과세 판단이 복잡해지고 “시가 변동이 수익으로 이어졌는지”를 세무서가 검토하기도 한다.
5. 지갑 이동 과정에서 수수료를 다른 코인으로 지불하고, 그 코인에 차익이 발생한 경우
NFT가 아니라 “수수료로 사용된 코인”에 과세 가능성이 생긴다.
예:
- ETH 0.01을 가스비로 사용
→ ETH 가격 변동이 있었다면 그 차익이 양도소득
NFT는 비과세 이동이라도 수수료 코인에 과세가 붙을 수 있다.
6. NFT를 다른 사람의 지갑으로 보내고, 금전적 대가 없이 이동한 경우(증여 의심)
NFT를 가족·지인 지갑으로 이동하면 과세 관점에서는 “증여” 가능성이 존재한다.
지갑 이동이
- 대가 없는 이전
- 소유자 변경 이라면 증여세 판단 대상이 될 수 있다.
NFT 지갑 이동을 안전하게 기록하고 신고 리스크를 없애는 방법
NFT는 코인보다 고유성이 강해 세무조사 시 이동 경로를 매우 중요하게 본다.
아래 자료를 준비하면 NFT 이동은 100% 비과세로 안전하게 설명 가능하다.
1) 지갑 주소 연동 문서
“지갑 A는 나의 개인 지갑이다”라는 서명(signature) 증명 필수.
2) 지갑 간 이동 Tx Hash 기록
이동 시간·NFT ID·지갑 주소가 모두 표시된 자료.
3) NFT의 원본·Wrapped 여부 기록
NFT가 어떤 형태로 있는지 명확히 남기기.
4) 브릿지 사용 기록
브릿지 거래는 Tx Hash 2개가 남기 때문에
정확한 기록 필요.
5) 수수료 지불 코인 내역
가스비 자산의 양도 여부 판단용.
6) 메타데이터 변경 기록
리빌 시점과 이동 시점을 명확히 구분해 두기.
결론 — NFT 지갑 이동은 기본적으로 비과세지만, 예외 상황에서는 과세가 발생한다
NFT 이동은 대부분 내부 이동이며 세법은 이를 과세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하지만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세무서가 “양도 또는 증여”로 해석할 수 있다.
- 자산의 성질 변화
- Wrapped 변환
- 브릿지 이동
- 수량 변화
- 타인 지갑 이동
- 수수료 코인 차익
-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NFT는 코인보다 세법상 더 민감하기 때문에 증빙 체계가 필수다.
핵심 문장은 단 하나다.
NFT 이동 자체는 비과세이지만, NFT의 본질이 변하면 과세가 발생한다.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코인 복사계약(Copy Trading) 세금 구조 완전 분석 (0) | 2025.11.20 |
|---|---|
|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크로스체인 브릿지 이용 시 세금 문제 (0) | 2025.11.19 |
|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다중 체인에서 발생한 수익의 신고 방식(국세청 기준 해설) (0) | 2025.11.19 |
|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코인 에어드랍이 과세되는 경우 vs 비과세되는 경우 (0) | 2025.11.19 |
|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스테이블코인 수익이 과세 대상인지 판정하는 5단계 체크리스트 (0) | 202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