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크로스체인 브릿지 이용 시 세금 문제

📑 목차

    크로스체인 브릿지 이용 시 세금 문제 완전 정리.

    Lock&mint, burn&mint, 수량 변화, wrapped 구조에 따라 양도소득 발생 여부 판단. 2025년 최신 국세청 기준 해설.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크로스체인 브릿지 이용 시 세금 문제

     

    크로스체인 시대가 만든 가장 복잡한 세금 문제: ‘체인 이동이 과세인가?’

    2025년 가상자산 시장은 완전히 멀티체인 생태계로 이동했다.
    사용자는 이더리움, 솔라나, 코스모스, BNB, 아발란체, 아비트럼, 옵티미즘 등
    수십 개 체인에서 자산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디파이·NFT·스테이킹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크로스체인 브릿지(Cross-chain Bridge)다.
    브릿지는 서로 다른 체인 간 자산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더 낮은 가스비, 더 빠른 속도, 더 큰 유동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문제는, 브릿지 거래가 세법 관점에서는 매우 복잡한 구조라는 점이다.

    사용자는 단순히
    “ETH → Arbitrum ETH 이동했을 뿐인데?”
    “SOL → Wormhole SOL 전환했을 뿐인데?” 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국세청은 그 과정을

    • 새로운 자산의 취득
    • 기존 자산의 처분
    • 내부 이동이 아닌 구조적 변경 등으로 보며, 경우에 따라 ‘양도소득 과세’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크로스체인 브릿지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가장 현실적이고 핵심적인 세금 문제를
    2025년 최신 기준에 따라 정리한다.


    브릿지 거래가 세법에서 논란이 되는 이유 — ‘자산이 동일한가?’가 핵심이다

    국세청은 가상자산 과세에서 실질 변화 원칙을 적용한다.
    즉, 형태만 비슷해 보여도 토큰의 본질, 수량, 구조, 가치가 변경되면 그 행위를 “양도”로 해석할 수 있다.

    브릿지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한다.


    1) Lock & Mint 방식

    예: ETH → Arbitrum ETH

    • 기존 ETH는 원래 체인에 ‘잠금(lock)’
    • 새 체인에서는 wrapped 토큰을 ‘발행(mint)’

    이때 사용자 지갑에 들어오는 것은 새로운 토큰(wETH, bridged ETH 등)이다.

    2) Burn & Mint 방식

    예: SOL → Wormhole SOL

    • 기존 체인 SOL은 소각
    • 다른 체인에 동일한 수량 발행

    이 과정은 “기존 자산 소멸 + 새로운 자산 취득”으로 볼 수 있다.


    세법은 다음 요소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 토큰의 본질이 변했는가?
     - 수량 변화가 있었는가?
     - 가격 변동이 발생했는가?
     - 사용자가 경제적 이익을 얻었는가?
     - 자산이 교환된 것처럼 보이는가?

    이 기준 때문에 브릿지는 단순 이동이 아니라 ‘양도소득 발생 여부’를 따져야 하는 민감한 영역이 된다.


    브릿지 이용 시 세금이 발생하는 경우 — ‘자산 성질 변화’가 핵심

    아래 5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브릿지 거래는 과세 대상이 된다.


    1. 기존 자산이 소각되고 새로운 토큰이 발행되는 구조

    예:

    • SOL → Wormhole SOL
    • ETH → wETH (브릿지 버전)
    • IBC 이동 시 메시지 기반 토큰 교환

    기존 토큰이 사라지고 새로운 토큰이 생기는 구조는 세법상 기존 자산의 처분 + 신규 자산 취득으로 본다.

    → 양도소득 발생


    2. 코인의 개수에 변화가 생기는 브릿지(Cosmos IBC 등)

    코스모스 IBC 이동에서는 수량 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량 변동 = 경제적 이익 변동 → 과세 가능성 매우 높음.


    3. 브릿지 과정에서 수수료가 코인 기준으로 부과되는 경우

    예:
    ETH 1개 이동 → 0.997 ETH 수령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자산 구성이 바뀌면 실질적으로는 “ETH를 주고 ETH(B)로 받는 교환”이 된다.

    → 양도 과세 판단


    4. 자산의 기술적 성질이 변경되는 경우(wrapped, synthetic 등)

    예:

    • ETH → wETH
    • BTC → renBTC
    • SOL → pSOL

    이 경우 원본 토큰과 랩드 토큰을 “동일한 자산”으로 보기 어렵다.

    → 양도 발생


    5. 브릿지 사용으로 자산 구성이 자동 변경되는 경우(LP·모델 기반 브릿지)

    일부 브릿지는 사용자의 토큰을 내부에서 다양한 자산으로 변환한 뒤 다시 합성하여 지급한다.

    이 과정은 중간 교환 → 자산 구성 변동 → 양도 발생 이 흐름을 만든다.


    브릿지가 비과세로 인정되는 경우 — 내부 이동으로 해석 가능한 상황

    국세청은 일부 조건에서만 브릿지를 단순 이동으로 인정한다.


    ① 기존 토큰이 lock 되고 동일 수량이 다른 체인에서 mint될 때

    예:
    ETH → Arbitrum ETH
    BSC → BNB Beacon → BNB Smart Chain
    Polygon → zkEVM 이동

    조건:

    • 기존 자산이 소멸되지 않음
    • 수량 동일
    • wrapped 구조 아님
    • 가격 변동 없음

    이 경우에는“내부 이동”으로 볼 수 있어 과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② 가교 과정에서 자산의 성질(토큰 표준)이 완전히 동일한 경우

    예:
    ERC20 → ERC20
    IBC 토큰 형태 동일 유지

    토큰의 실질과 표준이 유지되면 양도로 보기 어렵다.


    ③ 자산 이동만 일어나고 수익·보상·차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 조건을 충족하면 세법상 양도 판단을 피할 수 있다.


    브릿지 이용 시 반드시 기록해야 할 필수 증빙 7개

    브릿지는 일반 거래보다 훨씬 더 많은 증빙이 필요하다.

    1. 브릿지 트랜잭션 Tx Hash
    2. 기존 자산의 잠금(Lock) 내역
    3. 신규 체인의 Mint 내역
    4. 수량 변화 여부
    5. 브릿지 수수료(종류·수량·가치)
    6. 이동 시점의 원화 환율
    7. 자산의 기술적 표준(ERC20, SPL 등)

    이 자료가 없으면 국세청은 브릿지 거래를 “경위 불명 양도”로 보고 불리하게 과세할 수 있다.


    브릿지와 관련된 실제 신고 방식 — 국세청 기준으로 정리한 실전 단계

    아래 단계대로 정리하면 브릿지 과세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① 단계 — 브릿지 과정에서 자산의 본질이 바뀌었는지 확인

    바뀌었음 → 양도
    변화 없음 → 비과세 이동


    ② 단계 — 수량·가격·토큰 표준 변화 기록

    수량 변동 = 양도
    표준 변화 = 양도 가능성 높음


    ③ 단계 — 브릿지 수수료를 경비로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

    양도로 본다면 수수료는 취득원가로 포함 가능.


    ④ 단계 — 브릿지 이후의 자산 거래는 새로운 취득가 기준

    예:
    브릿지 후 받은 wETH를 팔면
    취득가 = 브릿지 당시 가치


    ⑤ 단계 — 연말에 모든 체인과 모든 브릿지 내역 합산하여 신고

    한국은
    “자산별 신고”가 아니라 “가상자산 전체 손익 통산” 구조다.


    결론 — 브릿지는 단순 이동이 아니다, 과세 여부는 “자산 변화의 실질”이 결정한다

    크로스체인 브릿지는 겉보기에는 단순 전송처럼 보이지만
    세법은

    • 자산 구성
    • 토큰 표준
    • 수량
    • 교환 여부
    • 경제적 이익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 브릿지는 때로는 비과세 이동, 때로는 양도소득 발생이라는 완전히 다른 결과를 만든다.

    핵심은 단 하나다.

    브릿지는 기술적으로 이동이지만, 세법에서는 ‘자산 교환’이 될 수 있다.
    이동 과정의 실질을 기록하면 세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