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2025년 기준 경비 인정이 거부되는 대표적 실수 12가지 정리.
개인카드·현금지출·외주비 증빙 누락·차량비·촬영소품 등 경비 부인 사례를 실전 기준으로 분석.

경비 처리는 누구나 하지만, ‘경비 인정’은 아무나 받지 못한다
많은 프리랜서·크리에이터·1인 사업자는 “영수증만 챙기면 경비 인정된다”라는 단순한 생각을 갖고 있다.
하지만 국세청은 영수증이 있다고 해서 경비를 인정해주는 기관이 아니다.
세법은 비용의 필요성·적정성·사업연관성·입증 자료를 모두 충족해야 비로소 경비로 인정한다.
2025년 기준 국세청의 세무조사·간편경비 조사 사례를 보면 경비 부담 자체보다
경비 인정 거부(부인)이 훨씬 자주 발생한다.
즉, 비용이 실제로 존재해도 세법에서 ‘경비가 아니다’라고 판정하는 사례가 매우 많다.
특히 프리랜서·유튜버·블로거·촬영 프리랜서·디자이너·영상제작자처럼 영수증이 많고 거래가 복잡한 업종일수록
경비 인정 누락이 세금 폭탄으로 이어진다.
이 글에서는 실제 조사에서 가장 많이 문제되는 경비 인정이 거부되는 12가지 실수를 현실적인 예시와 함께 정리한다.
경비 인정 거부 실수 1~4 — “증빙 방식이 잘못된 경우”
국세청은 단순 영수증이 아니라 ‘사업 목적성’을 먼저 본다.
1) 개인 카드 사용 후 증빙 없이 경비로 넣는 경우
가장 흔하고 가장 위험한 실수다.
개인카드를 사용했다면 반드시 아래 3가지가 증빙되어야 한다.
- 구매 목적
- 사업과 연관성
- 실제 사용 내역
국세청은 개인카드 사용 시 “가계 지출 우선 추정” 원칙을 적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설명이 없으면 경비 부인이 된다.
2)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지 않은 현금 지출
현금 거래는 증빙이 약하기 때문에 국세청은 정상 비용으로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
특히 문제되는 영역:
- 외주자에게 현금 지급
- 촬영 현장 식비 현금 결제
- 소품 구입 현금 결제
현금=사업 경비 인정 어렵다는 원칙을 기억해야 한다.
3) 계좌이체는 했지만, 매입 사실을 입증할 자료가 없는 경우
계좌이체 내역은 ‘돈이 누구에게 갔는가’만 증명하고 ‘무엇을 샀는가’는 증명하지 못한다.
필수 자료:
- 계약서
- 세금계산서 또는 영수증
- 지급 사유 메모
- 작업물 전달 증거
이 4가지가 없으면 경비가 쉽게 부인된다.
4) 해외 결제 영수증을 저장하지 않은 경우
구글 드라이브, Canva, 프리미어, ChatGPT, Notion 등 해외 결제 비용은 영수증이 따로 이메일로 오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보관해야 한다.
영수증이 없으면 사업상 지출 여부를 입증할 수 없어 경비 인정이 거의 불가능하다.
경비 인정 거부 실수 5~8 — “사업 관련성 부족으로 부인되는 사례”
경비 인정에 가장 중요한 것은 “사업 목적성”이다.
5) 업무와 무관한 장소에서 발생한 식대·카페 비용
예:
- 집 근처 카페
- 친구와의 식사
- 가족 식사
- 사적인 카페 이용
이런 지출은 거의 99% 경비가 부인된다. 사업 목적이 아주 명확히 설명되어야 한다.
6) 촬영용 소품이라고 주장하지만 맥락이 부족한 지출
예:
- 의류
- 화장품
- 생활용품
- 장식품
크리에이터가 촬영 목적이라고 주장해도 ‘콘텐츠에 출연한 증거’가 없으면 국세청은 절대 인정하지 않는다.
필수 증빙:
- 영상 캡처
- 게시글 링크
- 촬영 중 사진
- 제작 스크립트 일부
7) 차량비 전액을 경비로 넣는 경우 (특히 개인차량)
개인 차량은 사적 이용과 업무 이용이 혼재되어 있어 전액 경비 인정이 불가능하다.
국세청 기본 원칙:
- 개인차량: 업무비율 산정 필요
- 사업자 차량: 일정 요건 충족 시 인정
차량유지비·유류비·보험료·세차비 등 무조건 사업 목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8) 통신비·전기세·임대료를 전액 경비 처리하는 경우
집에서 작업하더라도 생활비 성격이 섞여 있으므로 100% 인정되지 않는다.
국세청은 기본적으로 업무 비율을 요구한다.
예:
- 통신비 → 50%
- 인터넷 → 70%
- 전기세 → 업무 목적 구간에 한정
비율 산정이 없으면 경비 인정 거부가 발생한다.
경비 인정 거부 실수 9~12 — “외주·거래·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무 오류”
콘텐츠 제작자·프리랜서에게 특히 많이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9) 외주 비용 지급 시 증빙 없는 경우 (지급명세서 미제출)
외주 비용은 가장 많은 경비 부인 사례다.
세법상 누군가에게 비용을 지급했다면 반드시 아래가 필요하다.
- 세금계산서
- 혹은 지급명세서 제출
- 혹은 계약서
이것이 없으면 외주비 전체가 경비 불인정된다.
10) 거래명세서·계약서 없이 큰 금액이 지출된 경우
예:
- 한 번에 200만 원 이상 장비 구입
- 외주비 300만 원 일괄 지급
- 제작 대행 150만 원 결제
이런 지출은 계약서가 없으면 “업무 연관성이 불명확”이라는 이유로 부인된다.
11) 매출이 없는 기간 동안 과도하게 발생한 경비
예:
- 3개월 동안 매출 0원
- 장비 구입비 700만 원
- 카페 지출 40만 원
- 통신비 3개월
이런 패턴은 국세청 시각에서 “업무와 무관한 지출”로 보인다. 경비 인정률이 급격히 떨어진다.
12) 가상자산·NFT 관련 경비를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
2025년 현재 디지털 자산 기반 경비는 심사 기준이 매우 엄격하다.
다음이 없으면 인정 불가:
- Tx Hash
- 거래 목적
- 지갑 주소
- 스크린샷
- 플랫폼 영수증
NFT 민팅·AI 이미지 구매·디자인 에셋 구입 같은 비용도 지출 목적 설명이 필수다.
결론 — 경비 인정은 ‘영수증’이 아니라 ‘설명 가능한 구조’가 핵심이다
경비 인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영수증이 아니다.
국세청이 인정하는 것은 다음 하나다.
“사업 수행에 반드시 필요했다는 설명과 증빙”
영수증이 있더라도 사업 연관성이 부족하거나, 증빙이 모호하면 경비는 언제든지 거부될 수 있다.
프리랜서·1인 사업자는 평소에 ‘증빙 체계’를 갖춰두면 세무조사나 경비 검증에서 절대 흔들리지 않는다.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업자·세법 난제·절세 전략 : 세무조사에서 가장 자주 적발되는 1인 크리에이터 유형 (0) | 2025.11.21 |
|---|---|
| 사업자·세법 난제·절세 전략 : 종합소득세 누진세 구간을 활용한 소득 분산 전략 (0) | 2025.11.21 |
| 사업자·세법 난제·절세 전략 : 프리랜서와 사업자의 ‘필요경비 인정률’ 차이 실전 비교 (0) | 2025.11.21 |
|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해외 코인 거래소 폐쇄 시 발생하는 세금 문제와 손실 처리 (0) | 2025.11.20 |
| 디지털자산·NFT·코인·웹3 : ‘미실현 손익’의 과세 여부 — 글로벌 기준과 한국 기준 비교 (0) | 2025.11.20 |